영화 1987의 역사적 배경에 대해서
영화 1987은 장준환 감독의 대한민국 정치 스릴러 영화이다. 2017년 개봉한 이 영화는 한국 근현대사의 중요한 시기 중 하나인 5 공화국 군사쿠데타부터 1987년 6월 민주화운동으로 이어진 사건들을 탐구한다. 영화의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1980년 한국의 정치적 상황을 살펴보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 기간 동안 한국은 1980년 군사 쿠데타를 통해 집권한 전두환 대통령의 권위주의 통치 하에 있었다. 군부 정권이 그의 정권은 엄격한 검열, 정치적 반대 탄압, 민주적 자유의 결여로 특징지어진다. 독재의 시대인 것이다. 영화 속 주요한 사건 중 하나는 민주화 운동에 가담했다는 이유로 경찰의 고문을 받다가 사망한 대학생 박종철의 죽음이었다. 군부 정권은 그의 죽음을 엄폐하려고 시도하였다. 그의 죽음은 억압적인 정권의 잔혹함을 상징하는 것이 되었고, 민중의 분노를 촉발시켰다. 사회 각계각층이 정치 개혁을 요구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시위가 격화되자 정부는 계엄령을 선포하고, 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군사력을 동원하는 등 점점 더 강경한 조치로 대응했다. 그러한 역사적 배경을 여러 계층의 인물들의 입장에서 풀어낸다.
영화 속 등장인물의 특징
영화에서는 시대적 특징에 따라 인물의 관점이 대립된다. 독재적이고 강압적인 정부에 선 등장인물은 박처장(김윤석 분), 조반장(박희순 분) 등이 있다. 이들은 민주 열사인 박종철 군의 죽음을 철저하게 은폐한다. 대공이라는 임무 아래 인권과 민주주의를 탄압하는 인물들이다. 한편 이러한 정권에 맞서는 등장인물로는 공안부장 (하정우 분), 김정남 (설경구 분) 그리고 조력자로서 극의 긴장감을 느끼게 하는 연희 (김태리 역), 한병용 (유해진 역)이 있다. 이 영화의 특징은 국가 권력자들의 시각에서 풀어내는 것이 아닌 평범한 대학생, 교도관 등 서민의 시각에서 그 당시 시대를 들여다본다. 영화의 중심이 되는 인물은 연희이다. 극의 초반에는 연희는 독재 정권에 대해 큰 생각을 가지지 않는 명문대 생이었다. 시위 운동을 하는 친구들을 이해할 수 없었고 역시 위험을 무릅쓰고 민주화 운동에 가담하는 외삼촌 병용을 답답해한다. 하지만 민주주의를 열망하는 이한열 (강동원 분)을 보고 정권의 실체를 알게 되고 분노하고 민주 운동에 참여하게 된다. 연희의 입체적 태도를 통해 관객으로 하여금 그 시대에 이런 사건에 대해 모르는 사람들이 많고 많은 사람들의 노력이 있었기에 현재의 민주주의가 가능했음을 영화에서는 말해주고 있다.
시사점,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실제 이 영화의 배경에 있어 중요한 사건은 박종철 열사 고문치사, 이한열 열사의 죽음 그리고 6월 민주항쟁이다. 이 사건들은 대한민국 민주화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된 사건이다. 전국적으로 광범위한 시위를 일으키게 해 주었고 민주화에 기여했다. 영화에서 등장하는 박종철, 이한열 열사 외에도 고문, 탄압에 의해 희생된 사람은 적지 않다. 이 사건으로 인해 한국은 국제사회에 많은 비난을 받게 되었고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뤄낸 대한민국의 어두운 면을 전 세계 사람들이 알게 되었다. 전두환 정권을 다룬 또 하나의 영화가 있다. 2023년 12월 영화 '서울에 봄'이 그것이다. '서울의 봄'에서는 전두환 정권이 수립되는 '생일집 잔치' 작전을 그려내었다면 이 영화는 그 이후 권력을 가진 독재정권이 만들어 내는 무서움, 가혹함, 어두운 면을 여러 인물들의 관점에서 풀어 나갔다. 그러한 권력에 굴복하지 않고 투쟁해 나가는 여러 인물들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고 있다. 관객은 영화를 보고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같은 역사가 반복되지 않도록 모두 노력해야 한다. 일부 권력자들에 의해서 억울한 사람이 생기지 않도록, 지금의 민주주의가 그냥 우리에게 원래 부터 존재했던 것이 아니다. 여러 인물들의 희생과 투쟁에 의해 어렵게 쟁취했음을 기억해야한다. 실제 전두환은 제대로 된 죄 값을 치르지 않은 채 죽었다. 잘못한 일에 대해선 확실하게 처벌 받고 희생한 사람들에게는 많은 보상을 주는 사회적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한다.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죽었다.라는 말도 안 되는 변명을 하는 해프닝이 생기지 않도록 말이다.